본문 바로가기
매매일지

매매일지 02-06 ~ 02-07 (현대건설, 칩스앤미디어, 일진전기)

by K관심종목 2025. 2. 9.
반응형

 

 

 

 

📌 매매일지 – 현대건설

🗓 매매일자:

  • 매수일: 2024년 2월 6일 (종가 매수)
  • 매도일: 2024년 2월 7일 (분할 매도)

현대건설 일봉 차트

 

현대건설 1분봉 차트

 


📌 매매사유 및 분석

이슈 분석:

  • 1월 22일 뉴스: "지난해 및 4분기 실적 발표 속 강세"
    • 실적 발표 후 긍정적인 시장 반응.
    • 기관·외국인 양매수 발생 → 수급이 강하게 들어옴.

수급 분석:

  • 1월 22일 기관·외국인 양매수 이후 기관의 지속적인 매수 확인.
  • 외국인 수급은 주시할 필요가 있지만, 기관이 꾸준히 매집 중.
  • 기관 수급을 기반으로 종가 매수 결정.

기술적 분석:

  • 1월 22일 강한 상승 기준봉 형성 이후 기간 조정 진행.
  • 2월 6일:
    • 조정 과정에서 일봉상 최고점에 근접한 양봉 단봉 캔들 형성.
    • 종가 매수 진행.

📌 매매 결과:

2월 7일:

  • 운 좋게 다음 날 상승 흐름 발생, 분할 매도 진행.
  • 기간 조정 후 재상승 흐름을 정확히 포착한 매매.

📌 총평:

  • 기관의 지속적인 수급 + 기준봉 이후 조정 흐름 + 단봉 캔들 패턴을 보고 진입한 전략이 유효.
  • 운도 따랐지만, 기술적 흐름과 수급을 근거로 진입한 점이 주효.
  • 분할 매도로 리스크 관리하며 안정적으로 수익 실현.
  • "운이 좋았지만, 매수 근거가 확실했던 트레이딩이었다."

향후 전략:

  • 기관 수급이 유지되는지 지속 체크.
  • 단기 상승 이후 눌림목 구간 재진입 검토.
  • 건설 섹터 전반적인 흐름 모니터링.

🎯 한 줄 총평: "기관 수급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매매 성공!"


 

📌 매매일지 – 칩스앤미디어

🗓 매매일자:

  • 매수일: 2024년 2월 6일 (종가 매수)
  • 추가 매수: 2024년 2월 7일 (장 초반 하락 시)
  • 매도일: 2024년 2월 7일 (분할 매도 후 전량 정리)

칩스앤미디어 일봉 차트

 

칩스앤미디어 1분봉 차트

 


📌 매매사유 및 분석

이슈 분석:

  • 1월 15일: "삼성·구글과 AVP 개발 착수" → 주가 20% 급등.
  • 1월 31일: "中 AI 굴기 수혜 전망" → 강세 지속.
  • AI 반도체 관련 수혜 기대감 지속.

수급 분석:

  • 기관·외국인 양매수 지속 확인.
  • 종가 기준 최고점 갱신하면서 매수세 유입.

기술적 분석:

  • 기간 조정 후 종가 기준 최고점 갱신 양봉.
  • 수급이 받쳐주고 있어 추가 상승 가능성 고려.
  • 2월 6일 종가 매수 진행.

📌 매매 결과:

2월 7일:

  • 장 초반 하락 출발, 현대건설 매도분으로 추가 매수 진행.
  • 수익권 나올 때마다 분할 매도 전략 활용.
  • 반도체 섹터 내 급등 종목 발생했지만, 칩스앤미디어는 강한 반응이 없어 전량 정리.

📌 총평:

  • 기관·외국인 수급 + 기간 조정 후 최고점 갱신 + 반도체 섹터 강세를 보고 진입한 매매.
  • 장 초반 추가 매수 후 수익권에서 분할 매도로 리스크 관리.
  • 섹터 내 다른 반도체 종목이 급등했지만, 칩스앤미디어는 반응이 둔해 전량 정리한 점이 적절한 판단.
  • "기대했던 섹터 슛팅이 나오지 않아 빠른 손절이 좋은 선택이었다."

향후 전략:

  • 반도체 섹터 내 수급 변화 체크 후 재진입 고려.
  • 기관·외국인 수급 유지 여부 지속 확인.
  • 단기 상승 이후 조정 시 눌림목 매수 검토.

🎯 한 줄 총평: "반도체 섹터 강세 속에서도 반응이 미약해 빠르게 정리한 트레이딩!"

 


 

📌 매매일지 – 일진전기

🗓 매매일자:

  • 매수일: 2024년 2월 6일 (종가 매수)
  • 추가 매수: 2024년 2월 7일 (하락 후 반등 시)
  • 부분 매도: 2024년 2월 7일 (종가 부근 반절 정리, 일부 보유 중)

일진전기 일봉 차트

 

일진전기 1분봉 차트


📌 매매사유 및 분석

이슈 분석:

  • 1월 22일: "美, AI 인프라 720조원 투자 예고" → 관련주 강세.
  • 1월 24일: "美 내셔널 그리드에 초고압 변압기 수출" → 상승 모멘텀.
  • 1월 31일: "'딥시크' 여진으로 전력설비株 약세" → 단기 조정.
  • 전력·AI 인프라 관련 수혜 기대감 유지.

수급 분석:

  • 기관·외국인 양매수 지속 확인 후 종가 매수 결정.
  • 기관 수급이 유지되는지 지속 체크 필요.

기술적 분석:

  • 기간 조정 후 반등 가능성 고려하여 종가 매수.
  • 2월 7일:
    • 장 초반 하락 출발 후 반등.
    • 반등 시 추가 매수 진행.
    • 전력 섹터의 힘이 약한 상황에서 비중을 늘린 점이 다소 아쉬운 부분.

📌 매매 결과:

2월 7일:

  • 반등 구간에서 수익이 날 때 일부 정리했어야 했으나, 물량을 줄이지 못한 점이 아쉬움.
  • 종가 부근에서 반절 매도 후 일부 물량 보유 유지.
  • 기관 수급이 살아 있어 추가 흐름을 지켜보며 보유 중.

📌 총평:

  • 전력 인프라·AI 관련 수혜 기대감 + 기관 수급 확인 후 종가 매수 전략.
  • 추가 매수 후 반등 구간에서 일부라도 매도했어야 하는데 놓친 점이 개선할 부분.
  • 섹터의 흐름이 둔할 때는 비중 조절을 더욱 신경 써야 함.
  • "추가 매수 후 반등 구간에서 일부라도 정리하는 습관을 더 들여야겠다."

향후 전략:

  • 기관 수급이 유지되는지 계속 체크 후 추가 대응.
  • 전력 섹터의 흐름과 연관된 시장 뉴스 모니터링.
  • 추가 상승 시 적절한 구간에서 남은 물량 분할 매도 계획.

🎯 한 줄 총평: "추가 매수 후 반등 구간에서 일부라도 매도하는 습관을 들이자!"

반응형